health

담석증의 치료

europa11 2008. 8. 18. 17:51
담석증의 치료
 담석 수술 후의 식이요법
① 수술 전
- 통증이 심하다면 식사 대신, 정맥주사로 영양을 공급하게 됩니다.
- 증상이 가라앉으면 지방 함량이 적고 소화에 부담스럽지 않은 음식을 먹습니다.

② 수술 직후
- 가스가 배출되고 나면 보리차, 음료수 등의 유동식을 주기 시작합니다.
- 수술로 인하여 지방의 소화 능력이 떨어져있습니다. 되도록 지방섭취를 되도록 피합니다.
- 그 후에 죽 미음 등의 반유동식으로 바꿉니다.
- 소화가 안되는 야채 과일이나 기름기 많은 생크림 들어간 것 등은 피합니다.

③ 회복기
- 지방 제한이 점점 없어져 하루 1-2 숟갈의 기름 정도는 샐러드 등을 먹을 수 있습니다.
- 지방을 오랫동안 제한하면 필수지방산이 부족해지고,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도 나빠집니다.
- 단백질은 하루 필요량(55g)만 섭취합니다.
하루에 고기,생선,계란,콩류에 해당하는 식품을 3단위 정도 먹습니다.
* 1단위=고기40g=생선1토막(50g)=달걀1개=두부1/6모(80g)
- 곡류 전분 야채 과일 등 탄수화물 중심의 식사를 합니다.

④ 안정기
- 지방의 소화능력이 회복되므로 보통식이 가능하게 됩니다.
- 수술 후 폭음폭식만 안 한다면 6개월 후에는 자유로운 식사가 가능합니다.
한방에서 보는 담석증
* 담석증은 간과 담낭의 기가 체했기 때문

한의학에서는 담석증은 간과 담낭의 기가 체했거나 습열(濕熱)의 기운이 막혀서 통하지 않을 때 생기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간과 담낭의 기능이 원활하지 못하여 담즙이 정체되어 담석이 생긴다고 합니다. 한편 체질적으로는 비만하기 쉬운 태음인과 몸안의 수분 정체가 잘 일어나는 소음인에게 담석증이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담석증은 “쓸개 빠진 사람”이란 말이 있듯이 담낭(쓸개)는 정신과 연관되어 분노나 억울함 등의 스트레스 상태인 경우에 생기며, 추위나 더위에 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경우 또 기름진 음식을 과도하게 먹는 경우에도 생기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기체, 습열, 열독에 따라 한방 치료

한의학에서는 딤석증을 증상의 심한 정도, 체질 등 정확한 진찰을 한 후 그에 맞게 약물, 침구 치료 등의 치료를 합니다.

주로 담즙의 배설이 잘 되도록 하는 처방에, 열이 있는 경우에는 열을 식혀주고 신경을 많이 쓰면서 이러한 증상이 겸한 경우에는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는 약재들을 같이 겸하여 씁니다. 침구치료는 담석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증상에 따른 치료로서 주로 간, 담 경락과 비, 위 경락에 침을 놓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