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의 영양관리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지방이 높거나 두 가지가 다 높은 경우로 유전적 인자에 의한 고지혈증을 1차성 고지혈증이라 하고 그 밖의 식사요인이나 질병들로 인한 고지혈증을 2차성 고지혈증이라고 한다.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영양소로서 남성호르몬, 여성호르몬 등 여러 가지 호르몬의 재료가 되며, 세포막, 피부, 담즙산 등을 만드는데 꼭 필요하다. 그러나 성인에게는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으면 동맥경화증이 촉진되고, 이로 인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등의 심혈관질환이 발생하므로 심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콜레스테롤의 적정관리가 요구된다.
고지혈증은 자각증상이 없어 장기간 그대로 방치하면 혈액 내 과다한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에 축적되어 동맥경화증이 생기고 혈관이 좁아져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김으로써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등을 일으키게 된다. 지단백질은 중성지방이나 콜레스테롤 같은 비극성 물질은 안쪽에 있고, 극성물질인 인지질이나 단백질이 바깥부분을 둘러싸고 있어 혈액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지단백질은 밀도차이를 이용한 초원심분리법에 의해 분리되며, 지단백의 크기에 따라 Chlomicron, VLDL, LDL, HDL등으로 나뉜다. 혈청 지단백 성분 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LDL > VLDL > HDL > Chlomicron순이고, 중성지질농도는 Chlomicron > VLDL > LDL > HDL순이다.(그림1) 콜레스테롤 중에서 동맥경화와 가장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LDL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이다. LDL은 콜레스테롤 에스테르가 가장 많은 지단백으로 LCAT(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작용에 의해 HDL로부터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를 받아서 조직으로 운반하는 작용을 하는데, LDL 콜레스테롤은 입자가 크기 때문에 동맥 내부로 들어가면 외부로 빠져나오기 어려우므로 혈관 내벽에 침착하여 동맥경화를 유발시키는 해로운 콜레스테롤이다. 반면 HDL은 말초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역수송하는 지단백으로서 HDL콜레스테롤은 입자가 작기 때문에 용이하게 동맥벽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으며, 이때 HDL콜레스테롤이 외부로 빠져나갈 때 해로운 LDL콜레스테롤도 함게 외부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HDL은 이로운 콜레스테롤이라고 한다. ![]() 4.질환과 영양소 연결
5.임상사례 ① ω3 지방산의 주요한 영향은 동맥경화, 혈전증, 혈압 등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ω3 지방산이 영향을 미치는 기전은 혈액중의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HDL 중성지방 등을 감소 혹은 상승시키는 것과 ω3 지방산으로부터 생성되는 eicosanoid 중 항혈전 작용이 있는 물질 합성의 촉진 및 혈전생성 촉진물질의 생성 억제를 통해 이 들 질병의 치료 및 예방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을 대상으로 식이지방의 포화지방과 단순불포화지방의 총량을 같게 하고 ω6, ω3, EPA+DHA를 충분한 양의 토코페롤과 함께 1주간 급여하여 혈청 내 지단백,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HDL 콜레스테롤 함량은 ω3계열 중 EPA+DHA에 의해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혈청 중성지질의 농도도 역시 EPA+DHA에 의해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고 하였다11). 귀리겨와 현미겨는 콜레스테롤을 낮추는데 가장 좋은 음식이며, 전곡류 씨리얼과 현미도 좋다. 상온에서 액체 올리브유, 대두유, 아마인유와 같은 채소 오일을 사용하되 특히 올리브유를 추천한다. 특히 튀긴 음식의 지방은 유해한 트랜스 지방산을 생성하고, 동맥을 막는 포화지방과 같이 작용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므로 피한다.
무지방 우유, 저지방 cottage cheese(탈지유로 만든 치즈), 그리고 껍질을 제거한 가금류를 적절하게 섭취한다. 간은 잉여 당질로부터 중성지방을 합성하여 혈액으로 내 보내므로 탄수화물의 주요 급원인 밥, 떡, 국수, 빵의 과잉섭취와 설탕이 많이 든 청량음료, 케이크, 과자류, 사탕, 쨈, 젤리, 벌꿀, 아이스크림 등을 다량 섭취를 줄여야 한다. 운동강도와 시간은 자신의 체력에 맞추어 30~40분 정도로 하되 1주일에 3~4회 이상 하는 것이 좋고, 권장운동으로는 걷기, 등산, 조깅, 에어로빅 체조, 수영, 테니스 등의 유산소 운동이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