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기능 약화, 체력 하락…활력 되찾으려면 장기간 치료 필요
지난 10년간 세계인구는 10억명이 증가하였으며 향후 25년 동안 20억이 더 증가하리라 예상된다. 같은 기간 노령인구는 3배나 증가하여 이에 따른 문제들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비뇨기과 부분에 있어서는 요실금,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성기능장애 등의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문제들 외에 중년 이후 남성에서는 남성호르몬이 매년 1% 이상씩 감소하여 남성호르몬 결핍에 의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남성 갱년기란
최근에는 이를 여성에서의 폐경기 증상과 비교하여 소위 남성 폐경기, 또는 남성 갱년기라고 부르고 있다.
즉 남성 갱년기는 ‘40대에서 55세 사이의 노화현상으로 남성호르몬 감소로 인하여 중년 이후 신체적 변화와 더불어 정신 및 심리적 상태,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 전반에 걸친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성과는 달리 증상이 천천히 나타나며 진행 또한 서서히 이루어진다.
여성에게서 일어나는 폐경기와 같은 내분비계의 변화가 남성에게서도 일어난다고 하며 이를 남성 갱년기로 부르기 시작한 것은 1993년의 일이다.
이후 남성호르몬이 저하되는 남성 갱년기가 여성에서와 마찬가지로 안면홍조, 신경질, 우울감, 기질적 뇌기능장애, 성욕과 발기력의 감소 등 여러 증상을 동반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후 밝혀진 바에 의하면 남성호르몬의 저하는 여성에서와 같이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나타나는 시기도 훨씬 고령이고, 모든 남성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남성갱년기보다는 남성호르몬 결핍증이라는 말이 더욱 타당할 것이다.
남성호르몬 생산은 30세 전후를 정점으로 하여 해마다 약 1%씩 감소하지만 갱년기 이후 남성의 혈중 남성호르몬치는 개개인에 따라 차이가 많으나 대개 정상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어떤 노령의 남성들은 젊은이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남성 갱년기가 얼마나 많은 남성에게서 나타나는지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남성호르몬의 저하는 뇌기능, 골대사, 근육질과 지방 분포, 성기능, 적혈구생산,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특히 심한 급성질병이나 호흡기 질환 같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을 때, 비만증, 심한 당뇨, 투약, 스트레스 등에 의해 남성호르몬 저하는 심화될 수 있다.
◆남성 갱년기의 증상과 치료
일반적으로 남성호르몬의 감소에 의한 남성 갱년기는 성욕과 발기력이 감소하고 특히 야간 발기나 새벽 발기가 나빠지는 증상을 포함한다.
정서가 불안해지고, 지적 능력이나 체력이 떨어지거나 피곤하고, 우울증 등이 나타나며, 빈혈이 생길 수 있고, 체모가 적어지며,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 상체 특히 아랫배의 지방질이 증가하고 근육의 양과 강도가 저하한다.
노인에게서 나타나는 고관절 골절 등도 이러한 남성호르몬의 부족에서 올 수 있는 골다공증의 영향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변화를 부족한 남성호르몬을 보충함으로써 예방 내지 치료하여 노인 남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현재 남성호르몬의 보충요법에는 복용약물, 근육주사, 그리고 피부에 붙이는 패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혀 밑에서 녹는 약제, 피하에 심는 기구 등도 개발되어 있다. 약제의 선택은 각 방법의 효과나 편리성, 가격, 각각의 부작용 및 장단점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로 보면 남성호르몬이 부분적으로 부족한 노인의 일부에서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이 뼈나 근육, 성기능 등에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남성호르몬 투여가 간기능이나 조혈기능, 전립선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투여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여야 한다.
투여 중에도 전문의의 세심한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남성호르몬은 전립선과 전립선암의 크기를 증가시키므로 호르몬의 보충요법을 시행하고자 하는 환자는 비뇨기과 전문의에 의한 전립선 진찰 및 혈액검사를 통한 전립선암의 선별검사를 미리 받아야 한다.
남성에서의 노화현상은 첫째 전반적으로 호르몬분비가 감소하며, 둘째 남성의 생식능력이 저하되고 성기능이 감소하고, 셋째 근력감소, 골다공증 및 복부비만 등의 체형변화와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성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남성 갱년기 자가진단
남성갱년기의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설문지들이 개발되었는데 다음은 그 중 간단하여 가장 흔히 사용되는 설문지이다.
1. 성적 흥미가 감소했다.
2. 기력이 몹시 떨어졌다.
3. 근력이나 지구력이 떨어졌다.
4. 키가 줄었다.
5. 삶에 대한 즐거움을 잃었다.
6. 슬프거나 불만이 있다.
7. 발기의 강도가 떨어졌다.
8. 최근 운동할 때 민첩성이 떨어졌다.
9. 저녁 식사 후 바로 졸린다.
10. 최근 일의 능률이 떨어졌다.
위의 10개 문항 중 1번이나 7번 문항이 해당되거나, 나머지 중 3개 문항이 해당되면 남성갱년기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원인과 대처법
이같은 남성갱년기의 원인으로는 연령증가에 따른 뇌ㆍ고환의 노화가 우선적으로 꼽힌다. 더불어 남성호르몬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음주, 흡연, 비만, 스트레스 등의 환경요인, 고혈압, 당뇨, 간 질환 등 만성질환에 의한 신체적 요인 등이 지적된다.
남성 갱년기에 따른 증상이 있고 혈액검사를 통하여 남성호르몬 감소가 확인되면 남성호르몬, 그 중에서도 테스토스테론의 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근육과 골격을 발달시키고 수염 및 체모가 자라나게 하며 목소리를 굵게 하는 작용 이외에도 남성의 성기관 성장과 발달에 기여한다.
남성 갱년기의 증상들 중 가장 뚜렷한 것의 하나가 성욕의 감소인데, 남성호르몬의 투여로 남성호르몬치가 정상으로 교정되면 성욕이 회복되고 활력을 찾게 된다. 반대로 성적 활동성이 증가하면 남성호르몬 생산이 증가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남성호르몬 투여는 감정적인 안정감, 수면 양상의 개선, 공포감이나 슬픔의 감소, 성기능저하의 부분적인 개선 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최근 발견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전립선암이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것과 관련, 남성호르몬 투여가 새로운 전립선암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전립선암 환자에서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또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배뇨증상이 심한 환자의 경우에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남성호르몬을 투여 받을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전립선암에 대한 진찰과 혈액검사를 하여야 한다.
치료기간에 대하여는 여성갱년기 치료와 마찬가지로 정확하게 언제까지 치료해야 한다는 기준은 없지만 대개는 장기간 치료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성장호르몬이나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DHEA의 투여로 남성갱년기의 증상을 호전시킨다는 연구결과들이 있으나 아직 많이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안태영 울산대 의대 교수ㆍ서울중앙병원 비뇨기과)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형 당뇨 식사요법 (0) | 2008.03.24 |
---|---|
당뇨병식사의 기본원칙 (0) | 2008.03.24 |
갱년기여성질환 (0) | 2008.03.23 |
당뇨병의 진단과검사방법 (0) | 2008.03.23 |
당뇨환자의결혼 (0) | 2008.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