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당뇨인의 족부 손상

by europa11 2008. 6. 27.
당뇨인의 족부 손상

 

급성기의 상처와는 달리 만성적인 손상은 회복되는 기전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을 한다. 특히 당뇨족에 있어서의 경우에는 더욱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당뇨인이 가지는 특증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말초 신경 병증

 

* 보호 감각의 소실

* 자율신경계의 이상

* 염증에 대한 신경의 반사 반응 손상

 

상처의 저산소증

 

* 대혈관 장애

* 소혈관 장애

 

비정상적인 회복반응

 

* 주화성 ( 농도차에 대한 반응)

* 섬유아세포의 반응 이상

 

과도한 염증 반응

 

신경병증

 

말초 신경 병증은 당뇨족의 가장 주된 원인이다. 특히 통증의 감소를 들수 있다. 예를 들면 일상 생활을 하면서 발에 조그만 상처가 나면 통증으로 인하여 보호하려는 반응이 동반이 된다. 그렇게 되면 상처를 치료하려는 행동이 수반되게 된다. 가장 일차적인 반응으로는  발열과 상처부위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외관상으로도 구분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신경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반응을 느끼지 못하고 대부분 관절의 유동성이 감소하거나 변형을 어느 정도 수반하기 때문에 발 바닥에 더 많은 압박을 주게 된다. 특히 잘못된 보행과 압박으로 인하여 각질이 형성이 되는데 이러한 각질은 상처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더 만들게 된다.

 

대혈관 장애

 

상처가 회복되지 않는 원인 중에 하나는 상처가 혈관을 통하여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는데 있다. 특히 당뇨인들의 경우에는 심혈관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많고, 말초 동맥 질환이 발생활 확률이 많게는 4-5배가 높다. 고혈당인 2형 당뇨인에게 특히 많이 발생을 한다.

하지로 내려가는 혈관의 장애는 신경병증과 결합을 하여서 회복의 지연과 허혈성 이상을 더 악화시키게 된다.

 

소혈관 장애

 

고혈당은 모세혈관의 위축을 촉진하는데 그렇게 되면 모세혈관의 압력이 높아져서 혈관의 수축반응에 문제가 발생을 한다. 또한 열이나 손상, 농도차에 대한 반응에도 문제가 생긴다.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갱년기 여성에게 좋은 음식  (0) 2008.07.01
당뇨족을 발생시키는 요인  (0) 2008.06.27
당분이란 무엇인가?  (0) 2008.06.27
당뇨합병증 - 심장병  (0) 2008.06.27
당뇨합병증 뇌졸증  (0) 2008.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