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년기 우을증
갱년기란 여성의 몸에 있는 난소에서 더 이상 배란이 되지 않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의 생성이 점차 감소하며, 월경도 점차 뜸해지다가 결국 멈추게 되는 이행 시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갱년기는 여성의 삶에 있어서 자연스런 과정이며, 보통 45세 - 55세 사이에 맞게 됩니다. 갱년기가 마쳐지면 더 이상 임신이 되지 않게 됩니다. |

- 안면부와 피부의 열감과 홍조 - 야간의 발한 - 불면증 - 감정의 변화 : 신경과민, 우울감, 불안감 - 불규칙한 월경주기 - 비월경기간중의 혈흔 - 질의 건조감 및 성교통 - 성욕감퇴 - 질의 감염 - 요도 감염 - 기타 : 골밀도 저하내지는 골다공증, 심장질환의 위험성 증대 |

갱년기는 자연스런 과정이기에 증상이 특별히 심하지 않으면 치료를 받지 않고 기다려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으로 인한 고통이 심할 경우에는 의사와 자세한 상의를 해서 꼭 필요한 경우에 호르몬 치료를 받아볼 수도 있습니다. 호르몬 치료로 인한 이득과 손실을 충분히 고려해서 결정하되, 최근에는 호르몬 치료 이외에도 다른 치료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의복은 얇은 것으로 여러 겹 입는다. - 카페인, 알코올, 매운 음식은 피한다. - 안면홍조와 열감이 올라오는 것을 느끼면 천천히 심호흡을 한다. - 요가, 명상, 태극권과 같은 이완요법을 이용해 본다. - 콩을 즐겨 먹는다. - 부부관계를 왕성하게 유지함으로 질의 유연성을 보존할 수 있다. - 매일 케겔(Kegel) 운동을 통해 질과 골반 쪽의 근육들을 강화시킨다. - 성관계를 할 때는 수용성의 윤활제를 이용해본다. |

- 금연 : 흡연은 조기 폐경의 유발인자 - 뼈를 강화하기 위한 규칙적인 운동 - 칼슘과 비타민D 섭취 - 저지방 식이 - 혈압, 콜레스테롤 등과 같은 심장질환의 위험요소들을 조절하기 |

갱년기 증상의 양상이 여성 개인마다 다르듯이, 폐경을 맞이하는 태도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어서 어떤 여성들은 월경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난다는 자유 때문에 홀가분해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많지는 않지만, 일부 여성들에서는 우울증을 심하게 겪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호르몬 농도의 변화와 같은 생리적인 것에서부터 여성으로서의 역할 상실감, 건강과 매력을 잃게 될 것이라는 염려, 노화에 대한 걱정 등과 같은 심리적인 것까지 다양하게 지적되고 있습니다.
|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를 맑게 하는 생활요법 (0) | 2008.05.15 |
---|---|
주부 우울증 (0) | 2008.05.14 |
당뇨 치료, 몸의 기능과 순환이 먼저 회복 되야 (0) | 2008.05.01 |
당뇨정복 삼박자를 지키고 건강해지자. (0) | 2008.05.01 |
당뇨의 한방 치료 (0) | 200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