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갱년기 우을증

by europa11 2008. 5. 14.

 

갱년기 우을증

 

갱년기란 여성의 몸에 있는 난소에서 더 이상 배란이 되지 않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의 생성이 점차 감소하며, 월경도 점차 뜸해지다가 결국 멈추게 되는 이행 시기를 말하는 것입니다. 갱년기는 여성의 삶에 있어서 자연스런 과정이며, 보통 45세 - 55세 사이에 맞게 됩니다. 갱년기가 마쳐지면 더 이상 임신이 되지 않게 됩니다.

여성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여성의 신체도 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이에 따라 여러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갱년기 증상은 개인마다 정도나 형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 안면부와 피부의 열감과 홍조
- 야간의 발한
- 불면증
- 감정의 변화 : 신경과민, 우울감, 불안감
- 불규칙한 월경주기
- 비월경기간중의 혈흔
- 질의 건조감 및 성교통
- 성욕감퇴
- 질의 감염
- 요도 감염
- 기타 : 골밀도 저하내지는 골다공증, 심장질환의 위험성 증대
갱년기를 진단하기 위해 혈액이나 소변을 통해 여성호르몬의 수치를 검사해 볼 수 있으며, 질 도말검사나 골밀도 검사 등을 통해 좀 더 정확한 신체상태를 평가해 볼 수도 있습니다.
갱년기는 자연스런 과정이기에 증상이 특별히 심하지 않으면 치료를 받지 않고 기다려 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으로 인한 고통이 심할 경우에는 의사와 자세한 상의를 해서 꼭 필요한 경우에 호르몬 치료를 받아볼 수도 있습니다. 호르몬 치료로 인한 이득과 손실을 충분히 고려해서 결정하되, 최근에는 호르몬 치료 이외에도 다른 치료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갱년기 증상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의복은 얇은 것으로 여러 겹 입는다.
- 카페인, 알코올, 매운 음식은 피한다.
- 안면홍조와 열감이 올라오는 것을 느끼면 천천히 심호흡을 한다.
- 요가, 명상, 태극권과 같은 이완요법을 이용해 본다.
- 콩을 즐겨 먹는다.
- 부부관계를 왕성하게 유지함으로 질의 유연성을 보존할 수 있다.
- 매일 케겔(Kegel) 운동을 통해 질과 골반 쪽의 근육들을 강화시킨다.
- 성관계를 할 때는 수용성의 윤활제를 이용해본다.
- 금연 : 흡연은 조기 폐경의 유발인자
- 뼈를 강화하기 위한 규칙적인 운동
- 칼슘과 비타민D 섭취
- 저지방 식이
- 혈압, 콜레스테롤 등과 같은 심장질환의 위험요소들을 조절하기
갱년기 증상의 양상이 여성 개인마다 다르듯이, 폐경을 맞이하는 태도도 개인마다 차이가 있어서 어떤 여성들은 월경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난다는 자유 때문에 홀가분해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많지는 않지만, 일부 여성들에서는 우울증을 심하게 겪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호르몬 농도의 변화와 같은 생리적인 것에서부터 여성으로서의 역할 상실감, 건강과 매력을 잃게 될 것이라는 염려, 노화에 대한 걱정 등과 같은 심리적인 것까지 다양하게 지적되고 있습니다.
갱년기가 되면 여성들이 우울해 할 것이라고 믿는 통속적인 믿음과는 달리, 의학적으로 폐경 자체가 우울증을 더 심화시킨다는 증거가 미약해서 지금은 갱년기 우울증이라는 용어를 잘 쓰지 않습니다. 설사, 갱년기를 맞이해서 우울증을 앓는 사람이 있다손 치더라도 다른 우울증과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치료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우울증의 치료법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심각한 우울증의 수준은 아니더라도 갱년기의 증상들 중에는 우울감, 불안감, 신경과민, 불면증 등과 같은 심리적인 것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증상들에 대해서 소량의 항우울제나 항불안제 등을 처방받아 드신다면 훨씬 안정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실제로도 많은 여성들이 약물치료로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